3. 7. 2 Void: 底上 Void, 웰드(Weld) Void, 쉐어(Shear) Void
(가) 현 상 : 제조된 폼 표면에 분화구 모양의 기공현상 (Fig 36).
(나) 원 인: 형내 압력변동에 의한 급격한 가스 발생으로 인한 충격- 혼합성 부족
- 실링성 부족
- 금형온도가 낮을 경우
- 인덱스(Index)가 높은 경우
- 해압시간(Degas Time)이 빠를 경우
(다) 대 책- 에어로딩화, 토출속도, 토출압, 액온 UP
- 실링성 개선
- 금형온도 UP
- 정량 및 액비(Calibration) 조절
- 해압시간 조절

3. 7. 2. 1 底上Void
(가) 원 인 : 금형 외부로의 폼 누출 또는 해압조작에 의한 급격한 내압변화가 일어날 때 발생 (Fig. 37).
(나) 대 책 :- 인덱스(Index) Down
- 금형온도 UP
- 실링성 개선
- 해압시간 조절

3. 7. 2. 2 웰드(Weld) Void
(가) 원 인 : 폼 합류지점에서 발생(Fig. 38).
(나) 대 책 :3. 7. 2. 3 쉐어(Shear) Void
(가) 원 인 :
폼의 두께가 얇은 부위의 가스 벤트(Vent)로 이하여 발생 (Fig. 39).
(나) 대 책- 혼합성 개선 및 액온 UP
- 토출량 및 토출압 UP
3. 7. 2. 4 에어트랩(Air Trap)
(가) 원 인 (Fig. 40).- 주입시 장애물 부위에 공기가 혼입되어 발생
- 원료의 흐름성이 불량할 때
- 가스 배출이 부족할 때
(나) 대 책- 주입시 공기(Air) 혼입방지(믹싱헤드 점검)
- 원료의 흐름성 개선(원액 온도 UP)
- 금형의 실링 및 해압시간 개선

|